국민주택 규모를 알아봅시다.

국민주택 규모를 알아봅시다.

국민주택 면적은 85㎡ = 33~35평

내 집 마련은 모든 사람의 궁극적인 목표이지만 달성하기는 쉽지 않습니다. 매일 부동산 매물을 보지만, 내가 살고 싶은 완벽한 집을 찾는 것은 생각만큼 간단하지 않습니다. 가장 많이 매매되는 우리나라 국민주택의 면적은 85㎡로 집을 구입할 때 흔히 볼 수 있는 구조이다. 흔히 공급면적 32평이라고도 합니다. 이 개념이 도입된 지 50년이 넘었는데, 이 정책이 어떻게 도입되었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정부가 조성하는 저가형주택은 주택자금으로 지은 주택으로 주거면적이 85㎡ 이하인 주택이다. 다른 것들은 개인 주택이라고 불립니다. 수도권과 도시지역에서는 국민주택의 면적을 주거용으로 85㎡ 이하로 정하고 있다. 85㎡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저금리로 지원임대자금을 빌릴 수 있고 농어촌특별세 0.2%도 면제된다. 정부가 서민들을 위해 만든 정책이라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. 원래 국민주택의 면적이 85㎡인 이유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다. 한 사람이 인간으로서 잘 살기 위한 최소 면적을 5평으로 계산하고, 25평은 가구당 평균인원인 5명을 곱해 계산했다는 설이 유력하다. 25평을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82.6㎡가 되고, 소수점을 빼고 반올림하면 85㎡가 됩니다. 통계청에 따르면 1970년대 우리나라 평균 가구원 수는 5.2명으로 1인당 거실이 딸린 주거면적은 최소 4.84평 이상이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. 현재 많은 곳에서는 국민주택의 규모가 표준이 되었습니다. 신혼부부 및 기관특수주택은 85㎡ 이하의 공간만 신청할 수 있으며, 공공분양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 1972년 건설촉진법에 따라 제정된 이 기준은 현재는 폐지됐지만 여전히 형식적이다. 현재 이러한 기준의 유래조차 명확하지 않아 이 규모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. 1인 가구 증가로 소형 가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. 면적 기준을 줄여야 한다는 입장과 함께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. 선진국에서는 기준이 실제로 더 높습니다. 인근 일본은 94.9㎡, 독일은 무려 114.6㎡에 달한다.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대가 흐름에 따라 그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. 하지만 이 크기를 바꾸는 것은 50년 넘게 불변의 법칙이었기 때문에 쉽지 않아 보인다. 주택 구입을 위한 기본 정보이기 때문에 꼭 필요한 국민주택 규모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